[기술적 분석] RSI (상대 강도 지수)

2023. 7. 31.

[기술적 분석] RSI (상대 강도 지수)

2023. 7. 31.

[기술적 분석] RSI (상대 강도 지수)

2023. 7. 31.

기술적 분석을 활용해 투자하셨던 분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만한 지표를 소개해 드릴게요!

바로 RSI(Relative Strength Index)인데요, '상대 강도 지수'라고 해서, 현재 가격의 상승분과 하락분의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내는 기술적 지표입니다. 즉, 종목이 어느 시점이 과매수 상태고, 어느 시점이 과매도 상태인지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어요.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볼까요? 🤔

  • RSI가 뭐야?

자산의 가격이 변하는 원인이 무엇인지 아시나요? 경제 상황, 기업의 실적 변화 등등 여러 가지 요인이 있을 텐데요, 그중 하나는 바로 추세입니다. 자산 가격의 흐름을 보고 사람들이 추세에 베팅하거나, 추세의 반대에 베팅하는 걸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어요. 📈
가격은 수요와 공급으로 결정되지요? 자산을 사려는 사람이 많다면 가격은 오를 것이고, 파려는 사람이 많다면 가격은 내려갈 거예요. 하지만 한 쪽으로 몰리는 경우도 생길 수 있겠죠? 그 시점을 알면 매수/매도 타이밍을 잡는 데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매수와 매도 세력의 힘의 차이를 쉽게 비교하고자 만들어진 지표가 바로 RSI입니다.

RSI는 일반적으로 0부터 100 사이의 값을 가지며,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내요.

📍 RSI 값이 70 이상일 경우: 과매수 상태

📍 RSI 값이 30 이하일 경우: 과매도 상태

RSI 값이 70을 초과하면 앞으로 자산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보고, 30 미만일 경우 자산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해석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내가 투자하고 있는 자산의 RSI가 80이라면 당장 매도하기에 좋은 신호겠죠?

  • RSI 계산은 어떻게 하는 건데?

RSI를 구하기 위해선, RS라는 지표를 먼저 구해야 해요. 아래 공식을 볼까요? 👀

🟣 RSI = RS ÷ (1 + RS) x 100
🟣 RS = (일정 기간 평균적으로 상승한 가격) ÷ (일정 기간 평균적으로 하락한 가격)

- 일정 기간은 일반적으로 14일을 많이 사용하지만, 다른 기간을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상승한 날들의 상승분 평균''하락한 날들의 하락분 평균'보다 높으면 RSI가 높고, 반대의 경우 RSI가 낮음을 의미해요.
공식으로만 보면 잘 와닿지 않을 수 있으니, 예시를 들어볼게요 !

아래는 2023년 7월 1일 00시 00분부터 1분 단위로 수집된 비트코인(BTC)의 가격 데이터입니다.

그래프를 보면 비트코인의 가격이 오르락내리락하는데요, 20분의 RSI 값을 구해볼까요?

RSI를 구하기 위해, RS부터 먼저 구해야겠죠? 🤔
'RS = (일정 기간 평균적으로 상승한 가격) ÷ (일정 기간 평균적으로 하락한 가격)' 이므로, 각 자산의 가격이 전날 대비 어느 정도로 올랐는지(내렸는지) 구해야 해요.

이때, RS 공식에 의해 하락분에 대해서는 절댓값을 취해 양수(+)로 만들어 줘야 해요.

증감분을 구했다면 양수는 양수끼리, 음수는 음수끼리 합을 구해볼게요.

➕ 양수의 합은 126,000
➖ 음수의 합은 115,000

증감분 데이터의 개수는 총 20개예요(첫날은 증감을 구할 수 없으니 제외).
양수의 합을 20으로 나눈 값을 AU, 음수의 합을 20으로 나눈 값을 AD라고 하면, RS = AU ÷ AD가 됩니다. 값들을 계산해 보면 수식은 다음과 같이 나오게 돼요.

RS를 구했으니 이제 RSI를 구해볼까요? 😆

✅ RSI = 52.28

만약 기술적 지표로 RSI만 활용한다면 하한 기준선을 30, 상한 기준선을 70으로 설정했다고 가정했을 때, 지금은 매수/매도하지 않고 홀드를 하거나, 현금 보유를 할 수가 있겠네요!

  • 트레이딩뱅크에서 어떻게 써?

트레이딩뱅크 서비스에서도 RSI 지표를 사용할 수 있는데요, 어렵지 않으니 쉽게 만들 수 있어요!

💡 RSI 값을 보고 싶을 땐?
➡️ 좌측 상단의 'fx 지표' 버튼을 누르고 '상대강도지수'를 누르면 보라색 꺾은선 그래프가 생겨요.

💡 만약 점선의 높낮이와 선의 색을 변경하고 싶다면?
➡️ 하단의 톱니바퀴를 누른 다음, 창이 하나 띄워지면 '모습' 탭에서 지표의 색과 기준이 되는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한 번 직접 만들어볼까요?

기본 설정과 종목 설정을 마쳤으면, 포뮬러에서 '상대강도지수'를 클릭해줍니다.

RSI 그래프를 보고 매수를 원하는 타이밍을 정한 뒤, 포뮬라를 완성하면 끝!

RSI의 장점은 가격의 움직임을 한눈에 볼 수 있다는 점과 과매수 및 과매도 상태를 파악하여 매매 결정에 도움이 된다는 점이에요. 그러나 RSI에도 한계가 있어요. 🥲

예를 들어, 어느 호재나 악재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강한 추세를 보이는 상황이라면 RSI 지수와 상관 없이 오랫동안 과매수/ 과매도 상태로 지속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장의 변곡점을 놓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어요.
따라서 RSI와 다른 기술적 분석 도구를 함께 사용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기술적 분석 도구는 시장의 미래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 패턴과 추세를 분석하여 투자자에게 도움을 주는 도구에 불과하다는 점을 기억해야 해요. 따라서 항상 추가적인 연구와 기본적인 분석을 함께 고려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술적 분석을 활용해 투자하셨던 분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만한 지표를 소개해 드릴게요!

바로 RSI(Relative Strength Index)인데요, '상대 강도 지수'라고 해서, 현재 가격의 상승분과 하락분의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내는 기술적 지표입니다. 즉, 종목이 어느 시점이 과매수 상태고, 어느 시점이 과매도 상태인지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어요.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볼까요? 🤔

  • RSI가 뭐야?

자산의 가격이 변하는 원인이 무엇인지 아시나요? 경제 상황, 기업의 실적 변화 등등 여러 가지 요인이 있을 텐데요, 그중 하나는 바로 추세입니다. 자산 가격의 흐름을 보고 사람들이 추세에 베팅하거나, 추세의 반대에 베팅하는 걸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어요. 📈
가격은 수요와 공급으로 결정되지요? 자산을 사려는 사람이 많다면 가격은 오를 것이고, 파려는 사람이 많다면 가격은 내려갈 거예요. 하지만 한 쪽으로 몰리는 경우도 생길 수 있겠죠? 그 시점을 알면 매수/매도 타이밍을 잡는 데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매수와 매도 세력의 힘의 차이를 쉽게 비교하고자 만들어진 지표가 바로 RSI입니다.

RSI는 일반적으로 0부터 100 사이의 값을 가지며,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내요.

📍 RSI 값이 70 이상일 경우: 과매수 상태

📍 RSI 값이 30 이하일 경우: 과매도 상태

RSI 값이 70을 초과하면 앞으로 자산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보고, 30 미만일 경우 자산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해석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내가 투자하고 있는 자산의 RSI가 80이라면 당장 매도하기에 좋은 신호겠죠?

  • RSI 계산은 어떻게 하는 건데?

RSI를 구하기 위해선, RS라는 지표를 먼저 구해야 해요. 아래 공식을 볼까요? 👀

🟣 RSI = RS ÷ (1 + RS) x 100
🟣 RS = (일정 기간 평균적으로 상승한 가격) ÷ (일정 기간 평균적으로 하락한 가격)

- 일정 기간은 일반적으로 14일을 많이 사용하지만, 다른 기간을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상승한 날들의 상승분 평균''하락한 날들의 하락분 평균'보다 높으면 RSI가 높고, 반대의 경우 RSI가 낮음을 의미해요.
공식으로만 보면 잘 와닿지 않을 수 있으니, 예시를 들어볼게요 !

아래는 2023년 7월 1일 00시 00분부터 1분 단위로 수집된 비트코인(BTC)의 가격 데이터입니다.

그래프를 보면 비트코인의 가격이 오르락내리락하는데요, 20분의 RSI 값을 구해볼까요?

RSI를 구하기 위해, RS부터 먼저 구해야겠죠? 🤔
'RS = (일정 기간 평균적으로 상승한 가격) ÷ (일정 기간 평균적으로 하락한 가격)' 이므로, 각 자산의 가격이 전날 대비 어느 정도로 올랐는지(내렸는지) 구해야 해요.

이때, RS 공식에 의해 하락분에 대해서는 절댓값을 취해 양수(+)로 만들어 줘야 해요.

증감분을 구했다면 양수는 양수끼리, 음수는 음수끼리 합을 구해볼게요.

➕ 양수의 합은 126,000
➖ 음수의 합은 115,000

증감분 데이터의 개수는 총 20개예요(첫날은 증감을 구할 수 없으니 제외).
양수의 합을 20으로 나눈 값을 AU, 음수의 합을 20으로 나눈 값을 AD라고 하면, RS = AU ÷ AD가 됩니다. 값들을 계산해 보면 수식은 다음과 같이 나오게 돼요.

RS를 구했으니 이제 RSI를 구해볼까요? 😆

✅ RSI = 52.28

만약 기술적 지표로 RSI만 활용한다면 하한 기준선을 30, 상한 기준선을 70으로 설정했다고 가정했을 때, 지금은 매수/매도하지 않고 홀드를 하거나, 현금 보유를 할 수가 있겠네요!

  • 트레이딩뱅크에서 어떻게 써?

트레이딩뱅크 서비스에서도 RSI 지표를 사용할 수 있는데요, 어렵지 않으니 쉽게 만들 수 있어요!

💡 RSI 값을 보고 싶을 땐?
➡️ 좌측 상단의 'fx 지표' 버튼을 누르고 '상대강도지수'를 누르면 보라색 꺾은선 그래프가 생겨요.

💡 만약 점선의 높낮이와 선의 색을 변경하고 싶다면?
➡️ 하단의 톱니바퀴를 누른 다음, 창이 하나 띄워지면 '모습' 탭에서 지표의 색과 기준이 되는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한 번 직접 만들어볼까요?

기본 설정과 종목 설정을 마쳤으면, 포뮬러에서 '상대강도지수'를 클릭해줍니다.

RSI 그래프를 보고 매수를 원하는 타이밍을 정한 뒤, 포뮬라를 완성하면 끝!

RSI의 장점은 가격의 움직임을 한눈에 볼 수 있다는 점과 과매수 및 과매도 상태를 파악하여 매매 결정에 도움이 된다는 점이에요. 그러나 RSI에도 한계가 있어요. 🥲

예를 들어, 어느 호재나 악재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강한 추세를 보이는 상황이라면 RSI 지수와 상관 없이 오랫동안 과매수/ 과매도 상태로 지속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장의 변곡점을 놓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어요.
따라서 RSI와 다른 기술적 분석 도구를 함께 사용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기술적 분석 도구는 시장의 미래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 패턴과 추세를 분석하여 투자자에게 도움을 주는 도구에 불과하다는 점을 기억해야 해요. 따라서 항상 추가적인 연구와 기본적인 분석을 함께 고려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술적 분석을 활용해 투자하셨던 분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만한 지표를 소개해 드릴게요!

바로 RSI(Relative Strength Index)인데요, '상대 강도 지수'라고 해서, 현재 가격의 상승분과 하락분의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내는 기술적 지표입니다. 즉, 종목이 어느 시점이 과매수 상태고, 어느 시점이 과매도 상태인지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어요.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볼까요? 🤔

  • RSI가 뭐야?

자산의 가격이 변하는 원인이 무엇인지 아시나요? 경제 상황, 기업의 실적 변화 등등 여러 가지 요인이 있을 텐데요, 그중 하나는 바로 추세입니다. 자산 가격의 흐름을 보고 사람들이 추세에 베팅하거나, 추세의 반대에 베팅하는 걸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어요. 📈
가격은 수요와 공급으로 결정되지요? 자산을 사려는 사람이 많다면 가격은 오를 것이고, 파려는 사람이 많다면 가격은 내려갈 거예요. 하지만 한 쪽으로 몰리는 경우도 생길 수 있겠죠? 그 시점을 알면 매수/매도 타이밍을 잡는 데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매수와 매도 세력의 힘의 차이를 쉽게 비교하고자 만들어진 지표가 바로 RSI입니다.

RSI는 일반적으로 0부터 100 사이의 값을 가지며,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내요.

📍 RSI 값이 70 이상일 경우: 과매수 상태

📍 RSI 값이 30 이하일 경우: 과매도 상태

RSI 값이 70을 초과하면 앞으로 자산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보고, 30 미만일 경우 자산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해석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내가 투자하고 있는 자산의 RSI가 80이라면 당장 매도하기에 좋은 신호겠죠?

  • RSI 계산은 어떻게 하는 건데?

RSI를 구하기 위해선, RS라는 지표를 먼저 구해야 해요. 아래 공식을 볼까요? 👀

🟣 RSI = RS ÷ (1 + RS) x 100
🟣 RS = (일정 기간 평균적으로 상승한 가격) ÷ (일정 기간 평균적으로 하락한 가격)

- 일정 기간은 일반적으로 14일을 많이 사용하지만, 다른 기간을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상승한 날들의 상승분 평균''하락한 날들의 하락분 평균'보다 높으면 RSI가 높고, 반대의 경우 RSI가 낮음을 의미해요.
공식으로만 보면 잘 와닿지 않을 수 있으니, 예시를 들어볼게요 !

아래는 2023년 7월 1일 00시 00분부터 1분 단위로 수집된 비트코인(BTC)의 가격 데이터입니다.

그래프를 보면 비트코인의 가격이 오르락내리락하는데요, 20분의 RSI 값을 구해볼까요?

RSI를 구하기 위해, RS부터 먼저 구해야겠죠? 🤔
'RS = (일정 기간 평균적으로 상승한 가격) ÷ (일정 기간 평균적으로 하락한 가격)' 이므로, 각 자산의 가격이 전날 대비 어느 정도로 올랐는지(내렸는지) 구해야 해요.

이때, RS 공식에 의해 하락분에 대해서는 절댓값을 취해 양수(+)로 만들어 줘야 해요.

증감분을 구했다면 양수는 양수끼리, 음수는 음수끼리 합을 구해볼게요.

➕ 양수의 합은 126,000
➖ 음수의 합은 115,000

증감분 데이터의 개수는 총 20개예요(첫날은 증감을 구할 수 없으니 제외).
양수의 합을 20으로 나눈 값을 AU, 음수의 합을 20으로 나눈 값을 AD라고 하면, RS = AU ÷ AD가 됩니다. 값들을 계산해 보면 수식은 다음과 같이 나오게 돼요.

RS를 구했으니 이제 RSI를 구해볼까요? 😆

✅ RSI = 52.28

만약 기술적 지표로 RSI만 활용한다면 하한 기준선을 30, 상한 기준선을 70으로 설정했다고 가정했을 때, 지금은 매수/매도하지 않고 홀드를 하거나, 현금 보유를 할 수가 있겠네요!

  • 트레이딩뱅크에서 어떻게 써?

트레이딩뱅크 서비스에서도 RSI 지표를 사용할 수 있는데요, 어렵지 않으니 쉽게 만들 수 있어요!

💡 RSI 값을 보고 싶을 땐?
➡️ 좌측 상단의 'fx 지표' 버튼을 누르고 '상대강도지수'를 누르면 보라색 꺾은선 그래프가 생겨요.

💡 만약 점선의 높낮이와 선의 색을 변경하고 싶다면?
➡️ 하단의 톱니바퀴를 누른 다음, 창이 하나 띄워지면 '모습' 탭에서 지표의 색과 기준이 되는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한 번 직접 만들어볼까요?

기본 설정과 종목 설정을 마쳤으면, 포뮬러에서 '상대강도지수'를 클릭해줍니다.

RSI 그래프를 보고 매수를 원하는 타이밍을 정한 뒤, 포뮬라를 완성하면 끝!

RSI의 장점은 가격의 움직임을 한눈에 볼 수 있다는 점과 과매수 및 과매도 상태를 파악하여 매매 결정에 도움이 된다는 점이에요. 그러나 RSI에도 한계가 있어요. 🥲

예를 들어, 어느 호재나 악재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강한 추세를 보이는 상황이라면 RSI 지수와 상관 없이 오랫동안 과매수/ 과매도 상태로 지속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장의 변곡점을 놓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어요.
따라서 RSI와 다른 기술적 분석 도구를 함께 사용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기술적 분석 도구는 시장의 미래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 패턴과 추세를 분석하여 투자자에게 도움을 주는 도구에 불과하다는 점을 기억해야 해요. 따라서 항상 추가적인 연구와 기본적인 분석을 함께 고려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Our Service

디지털 자산 자동 투자의 시작, ‘트레이딩뱅크’

트레이딩뱅크는 누구나 검증된 전략대로 자동 투자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나만의 전략대로 투자하거나, 전문 퀀트 트레이더가 검증을 완료한 전략대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트레이딩뱅크에서 백테스팅 바로 시작하기

트레이딩뱅크에서 백테스팅 바로 시작하기

*백테스팅은 PC버전에서만 가능합니다.

다양한 투자 데이터 제공

다양한 투자 데이터 제공

1만개 기술적 지표

1만개 기술적 지표와 온체인 데이터

1만개 기술적 지표와 온체인 데이터

온체인데이터

*온체인데이터: 블록체인 상 이루어지는 모든 자금 흐름을 실시간으로 데이터화한 지표

손쉽게 전략 생성 가능

손쉽게 전략 생성 가능

코딩 없이 전략 생성

코딩 없이 전략 생성

차트-전략 연동 분석 가능

차트-전략 연동 분석 가능

빠르고 정확한 전략검증

빠르고 정확한 전략검증

세계에서 가장 빠른 백테스팅 엔진

세계에서 가장 빠른 백테스팅 엔진

원클릭으로 200개 종목 검증

원클릭으로 200개 종목 검증

내 전략대로, 편하게 트레이딩로봇 투자

내 전략대로, 편하게 트레이딩로봇 투자

내 전략대로,
편하게 트레이딩로봇 투자

전략대로 자동 투자 (24시간/7일)

전략대로 자동 투자 (24시간/7일)

로봇 마켓으로 부수입

로봇 마켓으로 부수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