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 분석]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s)

2023. 7. 18.

[기술적 분석]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s)

2023. 7. 18.

[기술적 분석]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s)

2023. 7. 18.

  • 오늘은 어떤 걸 가져왔어?

이번에 소개해 드릴 지표는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s)인데요! 이 전략은 가격 변동성을 측정하고 가격의 흐름이 반전되는 시점을 찾아 매수 또는 매도하겠다는 전략으로서, 널리 사용되는 기술적 분석 도구 중 하나예요. 1980년대 초에 존 볼린저(John Bollinger)가 개발했으며, 이동평균선과 자산 가격의 표준 편차를 기반으로 구성됩니다. 언제 매수하고, 매도할지 잘 모르겠다면 이 지표를 유심히 들여다보면 힌트를 얻을 수 있답니다. 😄

어떻게 생겼는지부터 볼까요?

볼린저 밴드는 다음의 세 가지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어요.

1️⃣ 중심선(=이동평균선, Simple Moving Average): 자산 가격의 평균적인 움직임을 보여주며 n 일간의 자산 가격 평균으로 계산합니다. 일반적으로 20일 이동평균선을 사용해요.

2️⃣ 상한선(=저항선, Upper Band): 매도 타이밍에 대한 힌트를 주며, 통상적으로 중심선에 표준편차를 더해 계산합니다. 표준 편차(σ)는 가격 변동성을 측정하는 통계 척도이며, 일반적으로 를 사용해요. 

3️⃣ 하한선(=지지선, Lower Band): 매수 타이밍에 대한 힌트를 주며, 통상적으로 중심선에 표준편차를 차감해 계산합니다. 상한선과 마찬가지로, 대개 를 사용해요.

  • 표준 편차? 2σ? 그게 뭐야?

표준 편차(Standard Deviation)는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에요. σ라고 표기하기도 하고, '시그마'라고 부르기도 한답니다. 그래서 평균 값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수록 표준편차는 점점 커지는 것이죠. 즉, 작을수록 데이터가 모여 있고 클수록 데이터가 흩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왜 2σ를 통상적으로 사용할까요?🤔

"표준 편차가 2σ이다"라는 것은 데이터가 평균으로부터 표준 편차의 2배만큼 퍼져 있다는 것을 의미해요. 이때 2σ를 사용한 이유는, 통계학에서 2σ는 추정한 데이터가 전체 데이터에 속할 확률이 약 95%라는 의미이기 때문인데요, 추정의 오차 범위를 5% 이내로 줄이고 싶을 때 사용하는 지표라고 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어떤 데이터의 평균이 100이고, 표준편차가 10일 경우, 2σ의 범위는 100±20이므로, 전체 데이터 중 95%의 데이터가 80~120 사이에 흩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시그마 값이 너무 크면 이동평균선이 상한선, 하한선과 영원히 만나지 않아 매수와 매도가 일어나지 않아요.
🔵 시그마 값이 너무 작으면 상한선, 하한선이 이동평균선과 매우 가까워 매수와 매도가 과도하게 발생해요.

더욱 자세하게 알고싶다면 정규분포, 가설검정, 신뢰수준, 모집단, 표본, 표본 표준 편차 등 너무 깊게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 흠, 그래서 왜 2σ를 쓰는 거라고?

이동평균선이 약 95% 확률로 볼린저 밴드의 안쪽에 들어오도록 설정하기 위함이에요. 😅 5%의 예외가 발생할 때만 매매를 하겠다는 거예요.

참고) 정규분포 신뢰구간
± 1σ: 68.3%,  ± 2σ: 95.4%  ± 3σ: 99.7%

  • 볼린저 밴드의 특징이 뭐길래?

볼린저 밴드의 밴드(=상한선, 하한선)는 평균에서 표준 편차를 가감해서 계산되므로, 밴드의 폭은 변동성에 영향을 받아요. 따라서 시장이나 상황이나 자산의 가격이 급격히 변하는 시기에는 밴드의 폭이 넓어지고, 반대로 시장과 자산의 가격이 안정적이라면 밴드의 폭은 좁아지는 경향을 보이곤 해요. 🔍

볼린저 밴드 전략에서는 자산의 가격이 상단 밴드에 가까워지면 과매수 상태로 간주하며, 하단 밴드에 가까워지면 과매도 상태로 간주합니다. 또한, 주가가 밴드 내에서 움직일 때는 추세가 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해석되고, 밴드를 벗어날 때는 추세 반전의 가능성을 시사해요. 투자자들 사이에서 평균 회귀(Mean Reversion)라는 용어가 오르내리곤 하는데, 가격이나 수익률이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다가 결국에는 평균에 수렴한다는 이론입니다.
이를 전제로 볼린저 밴드 전략을 활용하는 투자자는 보편적으로 자산의 가격이 밴드의 상한선을 돌파하면 매도(Short), 하한선을 돌파하면 매수(Long) 포지션을 취하는 것이죠! 😮

참고) 이는 매수와 공매도를 동시에 활용해 안정적인 수익률을 추구하는 방법인 롱-숏(Long-Short) 전략과는 다릅니다.

  • 나도 만들 수 있어?

네, 트레이딩뱅크에서 직접 수치들을 바꿔가며 자신만의 전략을 만들 수 있어요! 지금부터 알려드릴게요. 😊

먼저, 상단 헤더에서 '내 전략'을 클릭해요.

이동한 후, 오른쪽 패널에서 기본 설정과 종목 설정의 값들을 채워줘요.

그 다음엔 '포뮬라' 탭을 누르고 아래의 5가지 볼린저밴드 지표 중 마음에 드는 걸 추가해요.

위에서 만든 포뮬라로 나의 매수 전략을 설정할 수 있어요.
저는 포뮬라A 또는 포뮬라B 중 하나만 만족하더라도 매수를 하는 전략을 만들어 볼 거에요.

매도 전략은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값을 사용했어요.

이렇게 설정을 모두 마치고 우측 하단에 있는 '백테스팅 실행' 버튼을 눌러주면~?

짜잔-! 투자 기간 동안 8.68%의 수익률을 냈다고 나오네요. 😍

실적 요약 탭에서는 총 수익률 그래프와 MDD그래프에서 대표적인 벤치마크 지수라고 볼 수 있는 비트코인과 비교할 수 있는 차트를 보여줘요. 저는 종목 선택을 BTC로 해서 그래프의 모양이 비슷하지만, ETH 또는 XRP로 했다면 확연하게 비교할 수 있었겠죠?!

종목 분석 탭에서는 복수 종목들의 투자 성과를 한 눈에 비교할 수 있어요!
지금은 베타 버전이라 단일 종목밖에 구현이 안 되어 있지만 추후 업데이트가 예정되어 있어요.

마지막 매매 내역 탭에서는 투자 기간 동안 매수와 매도가 어떻게 일어났는지 자세하게 살펴볼 수 있어요. 평균 보유 기간, 실현 손익, 수익률, 매수/매도 수량과 금액, 수수료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볼린저 밴드 전략에 대해 알아봤으니, 직접 구사하러 가 볼까요?

  • 오늘은 어떤 걸 가져왔어?

이번에 소개해 드릴 지표는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s)인데요! 이 전략은 가격 변동성을 측정하고 가격의 흐름이 반전되는 시점을 찾아 매수 또는 매도하겠다는 전략으로서, 널리 사용되는 기술적 분석 도구 중 하나예요. 1980년대 초에 존 볼린저(John Bollinger)가 개발했으며, 이동평균선과 자산 가격의 표준 편차를 기반으로 구성됩니다. 언제 매수하고, 매도할지 잘 모르겠다면 이 지표를 유심히 들여다보면 힌트를 얻을 수 있답니다. 😄

어떻게 생겼는지부터 볼까요?

볼린저 밴드는 다음의 세 가지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어요.

1️⃣ 중심선(=이동평균선, Simple Moving Average): 자산 가격의 평균적인 움직임을 보여주며 n 일간의 자산 가격 평균으로 계산합니다. 일반적으로 20일 이동평균선을 사용해요.

2️⃣ 상한선(=저항선, Upper Band): 매도 타이밍에 대한 힌트를 주며, 통상적으로 중심선에 표준편차를 더해 계산합니다. 표준 편차(σ)는 가격 변동성을 측정하는 통계 척도이며, 일반적으로 를 사용해요. 

3️⃣ 하한선(=지지선, Lower Band): 매수 타이밍에 대한 힌트를 주며, 통상적으로 중심선에 표준편차를 차감해 계산합니다. 상한선과 마찬가지로, 대개 를 사용해요.

  • 표준 편차? 2σ? 그게 뭐야?

표준 편차(Standard Deviation)는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에요. σ라고 표기하기도 하고, '시그마'라고 부르기도 한답니다. 그래서 평균 값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수록 표준편차는 점점 커지는 것이죠. 즉, 작을수록 데이터가 모여 있고 클수록 데이터가 흩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왜 2σ를 통상적으로 사용할까요?🤔

"표준 편차가 2σ이다"라는 것은 데이터가 평균으로부터 표준 편차의 2배만큼 퍼져 있다는 것을 의미해요. 이때 2σ를 사용한 이유는, 통계학에서 2σ는 추정한 데이터가 전체 데이터에 속할 확률이 약 95%라는 의미이기 때문인데요, 추정의 오차 범위를 5% 이내로 줄이고 싶을 때 사용하는 지표라고 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어떤 데이터의 평균이 100이고, 표준편차가 10일 경우, 2σ의 범위는 100±20이므로, 전체 데이터 중 95%의 데이터가 80~120 사이에 흩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시그마 값이 너무 크면 이동평균선이 상한선, 하한선과 영원히 만나지 않아 매수와 매도가 일어나지 않아요.
🔵 시그마 값이 너무 작으면 상한선, 하한선이 이동평균선과 매우 가까워 매수와 매도가 과도하게 발생해요.

더욱 자세하게 알고싶다면 정규분포, 가설검정, 신뢰수준, 모집단, 표본, 표본 표준 편차 등 너무 깊게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 흠, 그래서 왜 2σ를 쓰는 거라고?

이동평균선이 약 95% 확률로 볼린저 밴드의 안쪽에 들어오도록 설정하기 위함이에요. 😅 5%의 예외가 발생할 때만 매매를 하겠다는 거예요.

참고) 정규분포 신뢰구간
± 1σ: 68.3%,  ± 2σ: 95.4%  ± 3σ: 99.7%

  • 볼린저 밴드의 특징이 뭐길래?

볼린저 밴드의 밴드(=상한선, 하한선)는 평균에서 표준 편차를 가감해서 계산되므로, 밴드의 폭은 변동성에 영향을 받아요. 따라서 시장이나 상황이나 자산의 가격이 급격히 변하는 시기에는 밴드의 폭이 넓어지고, 반대로 시장과 자산의 가격이 안정적이라면 밴드의 폭은 좁아지는 경향을 보이곤 해요. 🔍

볼린저 밴드 전략에서는 자산의 가격이 상단 밴드에 가까워지면 과매수 상태로 간주하며, 하단 밴드에 가까워지면 과매도 상태로 간주합니다. 또한, 주가가 밴드 내에서 움직일 때는 추세가 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해석되고, 밴드를 벗어날 때는 추세 반전의 가능성을 시사해요. 투자자들 사이에서 평균 회귀(Mean Reversion)라는 용어가 오르내리곤 하는데, 가격이나 수익률이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다가 결국에는 평균에 수렴한다는 이론입니다.
이를 전제로 볼린저 밴드 전략을 활용하는 투자자는 보편적으로 자산의 가격이 밴드의 상한선을 돌파하면 매도(Short), 하한선을 돌파하면 매수(Long) 포지션을 취하는 것이죠! 😮

참고) 이는 매수와 공매도를 동시에 활용해 안정적인 수익률을 추구하는 방법인 롱-숏(Long-Short) 전략과는 다릅니다.

  • 나도 만들 수 있어?

네, 트레이딩뱅크에서 직접 수치들을 바꿔가며 자신만의 전략을 만들 수 있어요! 지금부터 알려드릴게요. 😊

먼저, 상단 헤더에서 '내 전략'을 클릭해요.

이동한 후, 오른쪽 패널에서 기본 설정과 종목 설정의 값들을 채워줘요.

그 다음엔 '포뮬라' 탭을 누르고 아래의 5가지 볼린저밴드 지표 중 마음에 드는 걸 추가해요.

위에서 만든 포뮬라로 나의 매수 전략을 설정할 수 있어요.
저는 포뮬라A 또는 포뮬라B 중 하나만 만족하더라도 매수를 하는 전략을 만들어 볼 거에요.

매도 전략은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값을 사용했어요.

이렇게 설정을 모두 마치고 우측 하단에 있는 '백테스팅 실행' 버튼을 눌러주면~?

짜잔-! 투자 기간 동안 8.68%의 수익률을 냈다고 나오네요. 😍

실적 요약 탭에서는 총 수익률 그래프와 MDD그래프에서 대표적인 벤치마크 지수라고 볼 수 있는 비트코인과 비교할 수 있는 차트를 보여줘요. 저는 종목 선택을 BTC로 해서 그래프의 모양이 비슷하지만, ETH 또는 XRP로 했다면 확연하게 비교할 수 있었겠죠?!

종목 분석 탭에서는 복수 종목들의 투자 성과를 한 눈에 비교할 수 있어요!
지금은 베타 버전이라 단일 종목밖에 구현이 안 되어 있지만 추후 업데이트가 예정되어 있어요.

마지막 매매 내역 탭에서는 투자 기간 동안 매수와 매도가 어떻게 일어났는지 자세하게 살펴볼 수 있어요. 평균 보유 기간, 실현 손익, 수익률, 매수/매도 수량과 금액, 수수료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볼린저 밴드 전략에 대해 알아봤으니, 직접 구사하러 가 볼까요?

  • 오늘은 어떤 걸 가져왔어?

이번에 소개해 드릴 지표는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s)인데요! 이 전략은 가격 변동성을 측정하고 가격의 흐름이 반전되는 시점을 찾아 매수 또는 매도하겠다는 전략으로서, 널리 사용되는 기술적 분석 도구 중 하나예요. 1980년대 초에 존 볼린저(John Bollinger)가 개발했으며, 이동평균선과 자산 가격의 표준 편차를 기반으로 구성됩니다. 언제 매수하고, 매도할지 잘 모르겠다면 이 지표를 유심히 들여다보면 힌트를 얻을 수 있답니다. 😄

어떻게 생겼는지부터 볼까요?

볼린저 밴드는 다음의 세 가지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어요.

1️⃣ 중심선(=이동평균선, Simple Moving Average): 자산 가격의 평균적인 움직임을 보여주며 n 일간의 자산 가격 평균으로 계산합니다. 일반적으로 20일 이동평균선을 사용해요.

2️⃣ 상한선(=저항선, Upper Band): 매도 타이밍에 대한 힌트를 주며, 통상적으로 중심선에 표준편차를 더해 계산합니다. 표준 편차(σ)는 가격 변동성을 측정하는 통계 척도이며, 일반적으로 를 사용해요. 

3️⃣ 하한선(=지지선, Lower Band): 매수 타이밍에 대한 힌트를 주며, 통상적으로 중심선에 표준편차를 차감해 계산합니다. 상한선과 마찬가지로, 대개 를 사용해요.

  • 표준 편차? 2σ? 그게 뭐야?

표준 편차(Standard Deviation)는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에요. σ라고 표기하기도 하고, '시그마'라고 부르기도 한답니다. 그래서 평균 값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수록 표준편차는 점점 커지는 것이죠. 즉, 작을수록 데이터가 모여 있고 클수록 데이터가 흩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왜 2σ를 통상적으로 사용할까요?🤔

"표준 편차가 2σ이다"라는 것은 데이터가 평균으로부터 표준 편차의 2배만큼 퍼져 있다는 것을 의미해요. 이때 2σ를 사용한 이유는, 통계학에서 2σ는 추정한 데이터가 전체 데이터에 속할 확률이 약 95%라는 의미이기 때문인데요, 추정의 오차 범위를 5% 이내로 줄이고 싶을 때 사용하는 지표라고 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어떤 데이터의 평균이 100이고, 표준편차가 10일 경우, 2σ의 범위는 100±20이므로, 전체 데이터 중 95%의 데이터가 80~120 사이에 흩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시그마 값이 너무 크면 이동평균선이 상한선, 하한선과 영원히 만나지 않아 매수와 매도가 일어나지 않아요.
🔵 시그마 값이 너무 작으면 상한선, 하한선이 이동평균선과 매우 가까워 매수와 매도가 과도하게 발생해요.

더욱 자세하게 알고싶다면 정규분포, 가설검정, 신뢰수준, 모집단, 표본, 표본 표준 편차 등 너무 깊게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 흠, 그래서 왜 2σ를 쓰는 거라고?

이동평균선이 약 95% 확률로 볼린저 밴드의 안쪽에 들어오도록 설정하기 위함이에요. 😅 5%의 예외가 발생할 때만 매매를 하겠다는 거예요.

참고) 정규분포 신뢰구간
± 1σ: 68.3%,  ± 2σ: 95.4%  ± 3σ: 99.7%

  • 볼린저 밴드의 특징이 뭐길래?

볼린저 밴드의 밴드(=상한선, 하한선)는 평균에서 표준 편차를 가감해서 계산되므로, 밴드의 폭은 변동성에 영향을 받아요. 따라서 시장이나 상황이나 자산의 가격이 급격히 변하는 시기에는 밴드의 폭이 넓어지고, 반대로 시장과 자산의 가격이 안정적이라면 밴드의 폭은 좁아지는 경향을 보이곤 해요. 🔍

볼린저 밴드 전략에서는 자산의 가격이 상단 밴드에 가까워지면 과매수 상태로 간주하며, 하단 밴드에 가까워지면 과매도 상태로 간주합니다. 또한, 주가가 밴드 내에서 움직일 때는 추세가 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해석되고, 밴드를 벗어날 때는 추세 반전의 가능성을 시사해요. 투자자들 사이에서 평균 회귀(Mean Reversion)라는 용어가 오르내리곤 하는데, 가격이나 수익률이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다가 결국에는 평균에 수렴한다는 이론입니다.
이를 전제로 볼린저 밴드 전략을 활용하는 투자자는 보편적으로 자산의 가격이 밴드의 상한선을 돌파하면 매도(Short), 하한선을 돌파하면 매수(Long) 포지션을 취하는 것이죠! 😮

참고) 이는 매수와 공매도를 동시에 활용해 안정적인 수익률을 추구하는 방법인 롱-숏(Long-Short) 전략과는 다릅니다.

  • 나도 만들 수 있어?

네, 트레이딩뱅크에서 직접 수치들을 바꿔가며 자신만의 전략을 만들 수 있어요! 지금부터 알려드릴게요. 😊

먼저, 상단 헤더에서 '내 전략'을 클릭해요.

이동한 후, 오른쪽 패널에서 기본 설정과 종목 설정의 값들을 채워줘요.

그 다음엔 '포뮬라' 탭을 누르고 아래의 5가지 볼린저밴드 지표 중 마음에 드는 걸 추가해요.

위에서 만든 포뮬라로 나의 매수 전략을 설정할 수 있어요.
저는 포뮬라A 또는 포뮬라B 중 하나만 만족하더라도 매수를 하는 전략을 만들어 볼 거에요.

매도 전략은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값을 사용했어요.

이렇게 설정을 모두 마치고 우측 하단에 있는 '백테스팅 실행' 버튼을 눌러주면~?

짜잔-! 투자 기간 동안 8.68%의 수익률을 냈다고 나오네요. 😍

실적 요약 탭에서는 총 수익률 그래프와 MDD그래프에서 대표적인 벤치마크 지수라고 볼 수 있는 비트코인과 비교할 수 있는 차트를 보여줘요. 저는 종목 선택을 BTC로 해서 그래프의 모양이 비슷하지만, ETH 또는 XRP로 했다면 확연하게 비교할 수 있었겠죠?!

종목 분석 탭에서는 복수 종목들의 투자 성과를 한 눈에 비교할 수 있어요!
지금은 베타 버전이라 단일 종목밖에 구현이 안 되어 있지만 추후 업데이트가 예정되어 있어요.

마지막 매매 내역 탭에서는 투자 기간 동안 매수와 매도가 어떻게 일어났는지 자세하게 살펴볼 수 있어요. 평균 보유 기간, 실현 손익, 수익률, 매수/매도 수량과 금액, 수수료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볼린저 밴드 전략에 대해 알아봤으니, 직접 구사하러 가 볼까요?

Our Service

디지털 자산 자동 투자의 시작, ‘트레이딩뱅크’

트레이딩뱅크는 누구나 검증된 전략대로 자동 투자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나만의 전략대로 투자하거나, 전문 퀀트 트레이더가 검증을 완료한 전략대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트레이딩뱅크에서 백테스팅 바로 시작하기

트레이딩뱅크에서 백테스팅 바로 시작하기

*백테스팅은 PC버전에서만 가능합니다.

다양한 투자 데이터 제공

다양한 투자 데이터 제공

1만개 기술적 지표

1만개 기술적 지표와 온체인 데이터

1만개 기술적 지표와 온체인 데이터

온체인데이터

*온체인데이터: 블록체인 상 이루어지는 모든 자금 흐름을 실시간으로 데이터화한 지표

손쉽게 전략 생성 가능

손쉽게 전략 생성 가능

코딩 없이 전략 생성

코딩 없이 전략 생성

차트-전략 연동 분석 가능

차트-전략 연동 분석 가능

빠르고 정확한 전략검증

빠르고 정확한 전략검증

세계에서 가장 빠른 백테스팅 엔진

세계에서 가장 빠른 백테스팅 엔진

원클릭으로 200개 종목 검증

원클릭으로 200개 종목 검증

내 전략대로, 편하게 트레이딩로봇 투자

내 전략대로, 편하게 트레이딩로봇 투자

내 전략대로,
편하게 트레이딩로봇 투자

전략대로 자동 투자 (24시간/7일)

전략대로 자동 투자 (24시간/7일)

로봇 마켓으로 부수입

로봇 마켓으로 부수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