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 분석] CCI (상품 채널 지수)

2023. 8. 15.

[기술적 분석] CCI (상품 채널 지수)

2023. 8. 15.

[기술적 분석] CCI (상품 채널 지수)

2023. 8. 15.

지금까지 다뤘던 지표들은 한 번쯤은 들어봤지만, 오늘 말씀드릴 CCI에 대해선 처음 들어보는 분들이 많을 것 같아요. 현재의 자산 가격과 이동평균의 차이를 측정하는 보조지표인데요, 주된 지표들과 같이 사용되곤 한답니다. 🤗

본래 개발 목적은 상품 가격의 계절성이나 주기성에 따른 가격 변동을 살펴보기 위함이었다고 하네요!
시장에 도입된 후 인기가 많아져 주식 시장에서도 투자자들이 널리 사용하는 지표가 되었어요.

  • CCI가 구체적으로 뭔데?

앞서 설명해 드렸다시피, 현재의 자산 가격이 이동평균에서 상하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에요. 과매수와 과매도를 측정하는 데 활용됩니다. 🙄

CCI값이 크다는 것은 이동평균보다 현재 자산 가격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반대로 CCI 값이 낮다는 것은 이동평균보다 현재 자산 가격이 낮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어요. 그래서 CCI 값이 중심선 0(= 이동평균)보다 커지고 있다면 상승 추세일 가능성이 크고, 반대로 0보다 작아지고 있다면 하락 추세일 가능성이 큽니다. CCI의 절댓값이 클수록 추세도 강해요.

네이버 증권에서 가져온 에코프로 주가 차트를 볼까요?

하단을 보면 CCI가 0보다 클 때 주가가 상승하는 추세고, 0보다 작을 때 주가가 하락하는 추세에 있는 걸 볼 수 있죠?

CCI 지표를 활용해 매매하는 방법에는 크게 2가지가 있어요! 🐤

1️⃣ 과열 구간을 이용한 방법

🔸 과매수 구간인 +100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 +100을 하향 돌파하면 매도

🔹 과매도 구간인 -100을 하향 돌파하면 매도, -100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


2️⃣ 중심선을 이용한 방법

🔸 중심선인 0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

🔹 중심선인 0을 하향 돌파하면 매도

  • 계산은 어떻게 하는 거야?

CCI는 다음과 같은 계산 식을 통해 구해져요. 🐵

  • 표준 가격 = (고가 + 저가 + 종가) / 3

  • 단순이동평균(SMA) = 일반적으로 14일 또는 20일 사용

  • 평균 편차 = 표준 가격과 SMA 간 차이 평균의 절댓값

  • 0.015는 CCI 값이 70~80% 확률로 -100에서 +100 범위 내에 들어오도록 하는 상수

트레이딩뱅크에서는 아래와 같이 CCI를 보여주고 있어요. fx 버튼을 눌러 사용해 보세요.


  • 실제로 하는 법도 알려줘

네, CCI같은 경우에도 단순 지표이기 때문에 전략을 만드는 건 어렵지 않아요!
평소와 마찬가지로, 오른쪽 패널에서 기본 설정과 종목 설정을 마치고 포뮬라를 추가해 볼까요?

포뮬라에서 지표를 누르게 되면 위와 같은 모달창이 나오죠?
'추세' 탭에 들어가서 'CCI' 지표를 눌러주면 사용이 가능하답니다.

CCI가 0을 상향 돌파하는 경우에 매수하는 전략으로 만들어 볼게요.

일단, 1봉전의 CCI가 0보다 크다는 조건으로 포뮬라 A를 만들어 줄게요.

그리고, 계속 CCI가 0보다 큰 상태에서 머물러 있어도 매수하는 게 아니라, 0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향 돌파를 해야 매수하는 조건으로 만들어주기 위해 2봉전 CCI는 0보다 같거나 작다는 조건으로 포뮬라 B를 만들어 줄게요.

매수 전략 탭에서 A and B를 선택해주고, 매도 전략을 기호에 맞게 설정해주면 끝이랍니다.

CCI는 보조 지표인 만큼 하나만 사용하지 말고 다른 지표와 함께 사용해서 인사이트를 얻어보세요 😀
다음 시간에 만나요~!

지금까지 다뤘던 지표들은 한 번쯤은 들어봤지만, 오늘 말씀드릴 CCI에 대해선 처음 들어보는 분들이 많을 것 같아요. 현재의 자산 가격과 이동평균의 차이를 측정하는 보조지표인데요, 주된 지표들과 같이 사용되곤 한답니다. 🤗

본래 개발 목적은 상품 가격의 계절성이나 주기성에 따른 가격 변동을 살펴보기 위함이었다고 하네요!
시장에 도입된 후 인기가 많아져 주식 시장에서도 투자자들이 널리 사용하는 지표가 되었어요.

  • CCI가 구체적으로 뭔데?

앞서 설명해 드렸다시피, 현재의 자산 가격이 이동평균에서 상하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에요. 과매수와 과매도를 측정하는 데 활용됩니다. 🙄

CCI값이 크다는 것은 이동평균보다 현재 자산 가격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반대로 CCI 값이 낮다는 것은 이동평균보다 현재 자산 가격이 낮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어요. 그래서 CCI 값이 중심선 0(= 이동평균)보다 커지고 있다면 상승 추세일 가능성이 크고, 반대로 0보다 작아지고 있다면 하락 추세일 가능성이 큽니다. CCI의 절댓값이 클수록 추세도 강해요.

네이버 증권에서 가져온 에코프로 주가 차트를 볼까요?

하단을 보면 CCI가 0보다 클 때 주가가 상승하는 추세고, 0보다 작을 때 주가가 하락하는 추세에 있는 걸 볼 수 있죠?

CCI 지표를 활용해 매매하는 방법에는 크게 2가지가 있어요! 🐤

1️⃣ 과열 구간을 이용한 방법

🔸 과매수 구간인 +100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 +100을 하향 돌파하면 매도

🔹 과매도 구간인 -100을 하향 돌파하면 매도, -100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


2️⃣ 중심선을 이용한 방법

🔸 중심선인 0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

🔹 중심선인 0을 하향 돌파하면 매도

  • 계산은 어떻게 하는 거야?

CCI는 다음과 같은 계산 식을 통해 구해져요. 🐵

  • 표준 가격 = (고가 + 저가 + 종가) / 3

  • 단순이동평균(SMA) = 일반적으로 14일 또는 20일 사용

  • 평균 편차 = 표준 가격과 SMA 간 차이 평균의 절댓값

  • 0.015는 CCI 값이 70~80% 확률로 -100에서 +100 범위 내에 들어오도록 하는 상수

트레이딩뱅크에서는 아래와 같이 CCI를 보여주고 있어요. fx 버튼을 눌러 사용해 보세요.


  • 실제로 하는 법도 알려줘

네, CCI같은 경우에도 단순 지표이기 때문에 전략을 만드는 건 어렵지 않아요!
평소와 마찬가지로, 오른쪽 패널에서 기본 설정과 종목 설정을 마치고 포뮬라를 추가해 볼까요?

포뮬라에서 지표를 누르게 되면 위와 같은 모달창이 나오죠?
'추세' 탭에 들어가서 'CCI' 지표를 눌러주면 사용이 가능하답니다.

CCI가 0을 상향 돌파하는 경우에 매수하는 전략으로 만들어 볼게요.

일단, 1봉전의 CCI가 0보다 크다는 조건으로 포뮬라 A를 만들어 줄게요.

그리고, 계속 CCI가 0보다 큰 상태에서 머물러 있어도 매수하는 게 아니라, 0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향 돌파를 해야 매수하는 조건으로 만들어주기 위해 2봉전 CCI는 0보다 같거나 작다는 조건으로 포뮬라 B를 만들어 줄게요.

매수 전략 탭에서 A and B를 선택해주고, 매도 전략을 기호에 맞게 설정해주면 끝이랍니다.

CCI는 보조 지표인 만큼 하나만 사용하지 말고 다른 지표와 함께 사용해서 인사이트를 얻어보세요 😀
다음 시간에 만나요~!

지금까지 다뤘던 지표들은 한 번쯤은 들어봤지만, 오늘 말씀드릴 CCI에 대해선 처음 들어보는 분들이 많을 것 같아요. 현재의 자산 가격과 이동평균의 차이를 측정하는 보조지표인데요, 주된 지표들과 같이 사용되곤 한답니다. 🤗

본래 개발 목적은 상품 가격의 계절성이나 주기성에 따른 가격 변동을 살펴보기 위함이었다고 하네요!
시장에 도입된 후 인기가 많아져 주식 시장에서도 투자자들이 널리 사용하는 지표가 되었어요.

  • CCI가 구체적으로 뭔데?

앞서 설명해 드렸다시피, 현재의 자산 가격이 이동평균에서 상하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에요. 과매수와 과매도를 측정하는 데 활용됩니다. 🙄

CCI값이 크다는 것은 이동평균보다 현재 자산 가격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반대로 CCI 값이 낮다는 것은 이동평균보다 현재 자산 가격이 낮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어요. 그래서 CCI 값이 중심선 0(= 이동평균)보다 커지고 있다면 상승 추세일 가능성이 크고, 반대로 0보다 작아지고 있다면 하락 추세일 가능성이 큽니다. CCI의 절댓값이 클수록 추세도 강해요.

네이버 증권에서 가져온 에코프로 주가 차트를 볼까요?

하단을 보면 CCI가 0보다 클 때 주가가 상승하는 추세고, 0보다 작을 때 주가가 하락하는 추세에 있는 걸 볼 수 있죠?

CCI 지표를 활용해 매매하는 방법에는 크게 2가지가 있어요! 🐤

1️⃣ 과열 구간을 이용한 방법

🔸 과매수 구간인 +100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 +100을 하향 돌파하면 매도

🔹 과매도 구간인 -100을 하향 돌파하면 매도, -100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


2️⃣ 중심선을 이용한 방법

🔸 중심선인 0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

🔹 중심선인 0을 하향 돌파하면 매도

  • 계산은 어떻게 하는 거야?

CCI는 다음과 같은 계산 식을 통해 구해져요. 🐵

  • 표준 가격 = (고가 + 저가 + 종가) / 3

  • 단순이동평균(SMA) = 일반적으로 14일 또는 20일 사용

  • 평균 편차 = 표준 가격과 SMA 간 차이 평균의 절댓값

  • 0.015는 CCI 값이 70~80% 확률로 -100에서 +100 범위 내에 들어오도록 하는 상수

트레이딩뱅크에서는 아래와 같이 CCI를 보여주고 있어요. fx 버튼을 눌러 사용해 보세요.


  • 실제로 하는 법도 알려줘

네, CCI같은 경우에도 단순 지표이기 때문에 전략을 만드는 건 어렵지 않아요!
평소와 마찬가지로, 오른쪽 패널에서 기본 설정과 종목 설정을 마치고 포뮬라를 추가해 볼까요?

포뮬라에서 지표를 누르게 되면 위와 같은 모달창이 나오죠?
'추세' 탭에 들어가서 'CCI' 지표를 눌러주면 사용이 가능하답니다.

CCI가 0을 상향 돌파하는 경우에 매수하는 전략으로 만들어 볼게요.

일단, 1봉전의 CCI가 0보다 크다는 조건으로 포뮬라 A를 만들어 줄게요.

그리고, 계속 CCI가 0보다 큰 상태에서 머물러 있어도 매수하는 게 아니라, 0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향 돌파를 해야 매수하는 조건으로 만들어주기 위해 2봉전 CCI는 0보다 같거나 작다는 조건으로 포뮬라 B를 만들어 줄게요.

매수 전략 탭에서 A and B를 선택해주고, 매도 전략을 기호에 맞게 설정해주면 끝이랍니다.

CCI는 보조 지표인 만큼 하나만 사용하지 말고 다른 지표와 함께 사용해서 인사이트를 얻어보세요 😀
다음 시간에 만나요~!

Our Service

디지털 자산 자동 투자의 시작, ‘트레이딩뱅크’

트레이딩뱅크는 누구나 검증된 전략대로 자동 투자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나만의 전략대로 투자하거나, 전문 퀀트 트레이더가 검증을 완료한 전략대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트레이딩뱅크에서 백테스팅 바로 시작하기

트레이딩뱅크에서 백테스팅 바로 시작하기

*백테스팅은 PC버전에서만 가능합니다.

다양한 투자 데이터 제공

다양한 투자 데이터 제공

1만개 기술적 지표

1만개 기술적 지표와 온체인 데이터

1만개 기술적 지표와 온체인 데이터

온체인데이터

*온체인데이터: 블록체인 상 이루어지는 모든 자금 흐름을 실시간으로 데이터화한 지표

손쉽게 전략 생성 가능

손쉽게 전략 생성 가능

코딩 없이 전략 생성

코딩 없이 전략 생성

차트-전략 연동 분석 가능

차트-전략 연동 분석 가능

빠르고 정확한 전략검증

빠르고 정확한 전략검증

세계에서 가장 빠른 백테스팅 엔진

세계에서 가장 빠른 백테스팅 엔진

원클릭으로 200개 종목 검증

원클릭으로 200개 종목 검증

내 전략대로, 편하게 트레이딩로봇 투자

내 전략대로, 편하게 트레이딩로봇 투자

내 전략대로,
편하게 트레이딩로봇 투자

전략대로 자동 투자 (24시간/7일)

전략대로 자동 투자 (24시간/7일)

로봇 마켓으로 부수입

로봇 마켓으로 부수입